반응형
M83 / 골연화증(Osteomalacia)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 | 구루병 (Rickets) |
---|---|
영향부위 | 체외 : 골격 |
증상 | 골 통증, 보행시 좌우로 흔들리는 특징 (waddling gait), 근육 약화 |
원인 | 비타민 D 부족, 인산 부족, 드물게 상염색체 열성 유전 |
진단 | 혈액 검사, 단순 방사선 사진(x-ray) |
치료 | 원인에 따른 치료 |
의료비지원 | 미지원 |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골연화증은 성인에서 새로 생성되는 골기질 (bone matrix) 의 무기화 (mineralization) 의 장애로 인해 골밀도의 감소를 보이는 질환이다.
증상 (Symptoms)
- 골연화증은 무증상일 수 있으며 방사선 검사상 골감소 (osteopenia) 소견을 나타낸다. 특징적으로 전반적 골 통증이나 근육의 약화 증상이 있다. 근육 약화 증상은 대개 근위부를 침범하며 움직임이 다소 불편해 지기도 한다. 보행시 좌우로 흔들리는 특징 (waddling gait) 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근병증은 부갑상선 호르몬의 증가, 저인산혈증, 칼시트리올의 저하로 인해 나타난다. 이와 비슷한 증상은 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나타난다.
- 골 통증은 척추, 골반, 하지에서 주로 나타나며 동일한 부위에 골절도 잘 발생한다. 통증은 특징적으로 활동이나 무거운 것을 들 때 악화된다. 골절은 저강도의 외상에 의해 또는 저절로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늑골, 척추와 장골에서 나타난다. 골의 변형은 성인에서는 드물지만 장기간동안 골연화증에 이환된 경우 척추만곡 (spinal curvature) 의 변형이나 흉곽이나 골반의 변형을 나타내기도 한다.
원인 (Causes)
비타민 D 부족 | 일광 노출 부족 비타민 D 섭취 부족, 흡수장애 신부전 간부전 |
---|---|
인산 부족 | 섭취 부족, 흡수 부족 신장에서 재흡수 장애 |
산증 | 신세뇨관 산증 |
약물 | 비스포스포네이트, 항경련제, 알루미늄, 납, 카드뮴 |
일차성 골무기질 장애 | 저인산혈증 |
진단 (Diagnosis)
임상적 양상으로 골연화증을 의심 할 수 있으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청학적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혈청학적 검사는 골연화증을 유발한 원인이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징적인 소견은 혈청 칼슘과 인산의 감소, 소변 내 칼슘 수치의 감소이다.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alkaline phosphatase) 가 증가 될수 있으며, 부갑상선 호르몬 역시 증가된다. 비타민 D 의 부족인 경우 혈청 내 25(OH)D 수치가 감소되어 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치료 (Treatment)
기저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한다. 일광 노출을 증가 시키며, 비타민 D 와 칼슘, 인산을 보충한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혈청과 소변의 칼슘, 인산,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검사를 추적 관찰 할 수 있다.
감수 (Supervision)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전문의 정윤석 교수 Update : 2010. 09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
-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1th edition Henry M. Kronenberg, Shlomo Melmed, Kenneth S. Polonsky, P. Reed Larsen.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이라면 알아둬야 할 성건강 상식 (0) | 2013.04.19 |
---|---|
공격성 섬유종증(Aggressive fibromatosis) (0) | 2013.04.19 |
거대세포 심근염(Giant Cell Myocarditis) (0) | 2013.04.19 |
기꾸찌 병(Kikuchis disease) (0) | 2013.04.18 |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 (0) | 201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