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각녹내장[ open angle glaucoma, 広隅角緣内障 ]
간호학대사전광우각녹내장[ open angle glaucoma, 広隅角緣内障 ]광우각녹내장이란 방수의 유출로인 우각은 넓고 언뜻 보기에 정상으로 보이는데 어떤 원인으로 우각부의 방수유출 저항이 늘고 안내압이 정상안압보다 높아 시기능의 장애나 해부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안질환이다. 안압검사, 시신경유두의 위축함요, 정형적시야 결손의 유무나 안압내변동, 방수유출능의 검사, 각종 유발시험(음수, 산동시험) 등으로 진단한다. 치료는 약물(축동제, β-차단제, 에피네프린의 점안 탄산탈수소효소 저해제나 고장침투제의 전신투여)로 안압을 조절하는데 필요에 따라 수술을 한다(주로 여과수술). 시야결손이 경미한 경우는 예후가 양호하다.참조어개방우각녹내장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공막각막염[ sclerokeratitis, sklerosierende Keratitis, ~角膜炎 ]
간호학대사전공막각막염[ sclerokeratitis, sklerosierende Keratitis, ~角膜炎 ]주로 결핵, 드물게 매독, 류머티즘 등으로 기인하는 공막염에 잇따라 발생한 각막염이고 각막병변이 있는 각막윤부(角膜輪部)에서 첨단을 각막중앙으로 향한 삼각형의 실질성, 또는 심층성 혼탁이 급속하게 침입, 확대하는데 그 변화는 각막염의 종류에 따라서 윤상(輪狀), 국한성등 다양하다. 각막염의 소실과 함께 각막염도 반흔을 남기고 치유된다. 다른 각막실질염과의 감별은 각막염(角膜炎)의 유무에 따른다. 치료는 부신피질 호르몬제, 항결핵제의 국소 및 전신투여를 행한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고장요법[ therapy of hyperosmotic agents, 高張療法 ]
간호학대사전고장요법[ therapy of hyperosmotic agents, 高張療法 ]녹내장에서 안압상승때문에 각막부종이 생기고 우각소견(隅角所見)을 얻을 수 없을 때나, 백내장이나 녹내장의 수술전에 고장삼투압제는 사용되고(점안, 내복) 초자체를 축소시킴으로써 안압을 낮추어 각막부종을 경감시키거나 수술을 용이하게 한다. 그밖에 하라타병(原田病) 등의 급성 미만성의 망막부종이 있을 때에 그 부종을 빨리 경감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삼투압제로는 30% 요소, 20% 만니톨, 50% 글리세린, 이소소르바이스 등이 있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고도근시[ high myopia , excessive myopia, starke Myopie, 高度近視 ]
간호학대사전고도근시[ high myopia , excessive myopia, starke Myopie, 高度近視 ]근시는 안축(眼軸)에 비해서 지나치게 도수가 높은 것으로 도수가 높아지면 안축이 연장하고 안저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즉 중등도의 근시에서는 귀쪽코누스와 표문상(豹紋狀)안저를 보게 되는데 도수가 높은 경우에는 더욱 진행해서 색소상피가 위축되고 맥락막의 큰 혈관이 비쳐보이고 코누스도 둥글게 된다. 주변부에는 변성이나 색소반응을 보게 되는 수가 있고 후주부에 황반부 출혈이나 후부포통증을 일으키면 시력저하의 원인이 된다.참조어코누스, 티그로이드안저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