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각막판누스
간호학대사전각막판누스[ corneal pannus, 角膜~ ]각막륜부(角膜輪部)혈관망에서 혈관이 각막표층에 진입해 혼탁을 수반하고 있는 상태. 전형적인 것은 트라코마에서 볼 수 있는데 플릭텐, 눈썹난생, 안검내반(眼瞼内反), 토끼눈, 또 각막염이나 각막궤양등의 치료시에, 그 밖에 시력이 없는 눈에서 볼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는 대부분 상피기저막하 보우만 막위에 있는데 보우만 막이 파괴되어 실질층에 진입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안과] 검구유착
간호학대사전검구유착[ symblepharon, Symblepharon, symblepharon, 瞼球癒着 ]검결막(臉結膜)과 구결막이 유착한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트라코마, 각 결막의 열상, 부식등이 있고 원개부 결막의 반흔수축(瘢痕收縮)에 잇따라 발생하는 후검구유착, 검연과 구결막, 각막과의 사이에 유착이 생기는 전검구유착, 검결막과 구결막의 전면적 유착에 의해서 생기는 전검구유착, 전검구유착에 상하검연의 유착을 합병한 검연유착의 4가지 형이 있다. 치료는 유착을 절개 박리하고 결막을 이동해서 피복한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안과] 결막건조증
간호학대사전결막건조증[ xerosis conjunctive, Xerose konjunktivae, xerosis conjunctivae, 結膜乾燥症 ]누액의 분비감소는 아니고 결막조직 그 자체의 변화에 따라서 결막의 건조에 의한 병이다. 상피성결막건조증과 실질성 결막건조증으로 나뉘어진다. 전자는 주로 비타민 A결핍, 영양장애가 원인이되어 야맹, 전신의 상피조직위축, 이상각화의 일부로서 생긴다. 구결막은 광택을 잃고 주름의 벽형성, 윤부결막 상피의 각화에 따른 비토 Bitot 반(斑)이 나타난다. 후자는 결박하조직의 광범한 반흔화에 의한 상피의 각화이고 트라코마, 유천포창등에 의해 생겨 각막에도 변화가 미친다. 치료는 인공누액 접안, 타액선 분비관의 이식여부로 결정된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
[안과] 각막헤르페스
간호학대사전각막헤르페스[ corneal herpes, 角膜~ ]단순헤르페스의 감염에 의해서 생기는 각막염이고 현재의 각막염 가운데서는 특기되는 질환이다. 수지상궤양을 주로하는 각막표층의 병변에서 시작되는데, 경과중에 여러가지 증상을 나타낸다. 각막지각은 저하하고 있는데 안통이 있고, 유루, 이물감, 수명을 호소한다. 재발은 대단히 많다. IDU 또는 아시클로비르의 잦은 점안이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병변이 각막실질에 미치고 있을 때에는 효과가 적고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점안을 IDU 또는 아시크로비르점안과 병용할 필요가 있다.동의어각막포진(corneal herpes, Hornhautherpes, 角膜疱疹)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안과] 각막 연화증
체육학대사전각막 연화증[ keratomalacia , 角膜軟化症 ]분야보건비타민A 결핍식 때문에 일어나는 각막질환으로 편식•영양불량, 특히 불완전한 인공영양아(人工榮養兒)에 많고, 또 홍역, 백일해, 폐렴 등이 결핍의 유인이 되어 일어나는 수가 있다. 각막 및 결막이 광택을 잃고 건조하고 이어서 각막의 혼탁을 가져오며, 더욱 진행되면 궤양을 형성하여 연화붕괴 되면서 홍채(虹彩)가 빠져 나와, 안구(眼球) 내용을 노출하여 실명에 이른다. 가급적 빨리 비타민 A를 공급하면 좋다. 조기에 치료하면 완전히 치유할 수 있으나 심한 경우에는 실명하게 된다.출처체육학대사전, 이태신, 2000.2.25, 민중서관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