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931)
급성카타르성 결막염 간호학대사전급성카타르성 결막염[ acute catarrhal conjunctivitis, conjunctivitis catarrhalis acuta, 急性~性結膜炎 ]결막충혈, 분비물을 주증상으로 하고 중증인 경우 각막표층에 자극을 주어 표층각막염이 생기면 수명(羞明), 이물감, 통증유루(流淚)를 보게 된다. 분비물은 초기에는 장액성(漿液性)인데 차츰 점액성이 되고 백혈구가 포함되면 점농성이 된다. 원인은 주로 코호위익스균, 포도구균 등이고 그밖에 물리적 자극, 화학적 자극이 있다. 치료는 안부의 청결유지와 항생물질의 점안이고 안대는 세균증식을 유발하거나, 소아의 경우 시력저하의 원인이 되는 수가 있으므로 피한다. 예후는 일반적으로 양호하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급성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 생명과학대사전급성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virus , 急性出血性結膜炎~ ]피코르나바이러스과`(Picornaviridae)에 속하는 장내바이러스 70형(EV70). 사람결막에 감염증식하여 짧은 잠복기간(48시간 이내) 후에 결막 하의출혈을 특징으로 한다. 결막, 안검의 부종을 수반하는 급성결막염을 일으킨다. 안증상이 소실된 후에는 폴리오유사의 신경마비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야생분리주는 저온증식성을 나타내고 조직배양에서의 적정 증식온도는 33℃이다. 일반 장내바이러스와는 달리 비영장류의 동물세포(토끼, 마우스, 돼지,소 등의 세포주)에서도 증식한다. 원숭이에 신경독성을 보이며척수내 및 시상(視床) 내에 접종하면 하지에 이완성 마비가 생긴다.동의..
급성세균성 결막염[ acute bacterial conjunctivitis , 急性細菌性結膜炎 ] 생명과학대사전급성세균성 결막염[ acute bacterial conjunctivitis , 急性細菌性結膜炎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결막염. 주요 증상은 결막충혈, 분비물(눈물) 증가, 농포 형성, 가성막 형성 등이다. 지금까지 급성결막염이 가장 많았던 Haemophilus aegyptius(Koch-Weeks간균)에 의한 것은 줄어드는 대신 바이러스성 결막염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세균성의 경우는 그람양성구균의 포도구균, 폐렴구균에 의한 것 및 그람음성간균의 녹농균에 의한 것이 증가 추세이다. 또한 최근 성병의 증가로 임균성 결막염도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급성 결막염으로 다량의농성 분비물이 생기고 각막궤양으로 이어져 실명할 위험성이높다. 치료는 항생제의 점안을 주로 하지만 중증의 경우에는 전..
급성미만성 포도막염 간호학대사전급성미만성 포도막염[ acute diffuse uveitis, acut diffus Uveitis, 急性彌漫性葡萄膜炎 ]포크트 Vogt가 보고한 아급성 홍채모양체염(虹彩毛樣体炎)과 하라타병(原田病)을 통털어서 급성미만성 포도막염이라고 한다. 포크트-고야나가(小柳)-하라타증후군이라고도 한다. 포크트-고야나 기형에서는 홍채모양체염의 증상이 심하고전방중(前房中)의 세포, 각막 후면침착물, 홍채후유착, 초자체혼탁이 심하고 중증인 경우 백내장, 녹내장을 속발한다. 이명, 난청, 두발의 백탈락(白變 脫落)을 수반하는 수가 있다. 후두포도막염은 포크트-고야 나기형, 하라타형 사이에 차이는 그다지 없다.참조어하라타병, 포크트-고야나기-하라타병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급성구후 시신경염 간호학대사전급성구후 시신경염[ acute retrobulbarneuritis, akute Retrobulbärneuritis, 急性球后视神经炎 ]시력의 저하를 수반하는 시신경의 급성장애이고 안저유두에 다각적 변화를 수반하는 것과 수반하지 않는 것이 있다. 대부분은 다발성 경화증 등의 탈수성 질환의 한 과정인데 그밖에 시신경관이나 시신경교 차부의 염증에 의한 것도 있다.증상은 급속하게 저하하는 양쪽 또는 한쪽의 뚜렷한 시력장애이고 안구에 가벼운 통증을 수반하는 수도 있다. 다발성 경화증에 수반하는 경우에 시력은 회복할 때가 많은데 반복하면 시력장애는 남고 유두이측(乳頭耳側)의 창백화가 생긴다.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근접점[ near point ] 실험심리학용어사전근접점[ near point ]수정체가 더 이상 가까이 다가오는 사물에 대해 초점을 조절할 수 없는 거리. 사물이 근접점보다 가까이 있으면 교정 렌즈에 의해서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참고문헌김정오, 곽호완, 박창호, 박권생, 정상철, 남종호, 도경수 공역(2007). 감각과 지각(제7판). 시그마프레스. 정찬섭, 김정오, 도경수, 박권생, 박창호, 김유진, 남종호 공역(1999). 감각과 지각(제4판). 시그마프레스.출처실험심리학용어사전,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2008, 시그마프레스㈜
교감성 안염[ sympathetic ophthalmia, sympathische Ophthalmie, 交感性眼炎 ] 간호학대사전교감성 안염[ sympathetic ophthalmia, sympathische Ophthalmie, 交感性眼炎 ]한쪽 눈에 천공성(穿孔性) 외상을 입고 주로 모양체(毛樣體), 때로는 홍채(虹彩) 그밖의 포도막이 파괴되었을 때, 부상에서 약 2주~2개월 뒤에 두 눈에 급성미만성포도막염이 생기는 것으로 그 원인은 불확실하다. 증상은 한번 가볍게 나은 부상눈(교감안)에 염증이 재연하고 다른 눈(피교감안)에 수명(羞明)을 주로 호소하는 시력장애와 출혈이 시작되어 포도막염이 두눈에 생긴다. 홍채모양체염증상이 심하면 그 합병증으로 인해서 두 눈 모두 실명하는 수도 있다. 경과중에 두통,이명(耳鳴), 모발백발, 탈모, 피부백반 등의 원전병(原田病)과 유사한 증상을 합병한다. 조직학으로서 원전병과 비슷하다..
광시증[ flashing lights , photopsia, Photopsie, 光視症 ] 간호학대사전광시증[ flashing lights , photopsia, Photopsie, 光視症 ]폐검시(閉瞼時)나 암소에서도 시야에 섬광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빛이 없는 데도 빛을 느끼는 것으로 환자는 눈을 뜨고 있을 때나 감고 있을 때나 항상 개똥벌레가 날은다고 호소한다. 시세포가 자극을 받은 것이 원인이며 외상, 막맥락막염(網脈絡膜炎), 특히 망막박리의 발병전에 종종 나타난다.동의어안내섬광(眼内閃光), 안화섬발(photopsia, Funkensehen, 眼華閃發)출처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