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78.2 /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Familial Dysbetalipoproteinemia)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 | 프레드릭슨고지질단백혈증, III형 (Fredrickson's hyperlipoproteinemia, type Ⅲ) |
---|---|
영향부위 | 체내 : 혈관(혈액) / 체외 : 피부 |
증상 | 고 지단백혈증, 황색종 |
원인 | 상염색체 열성 유전, apolipoprotein의 isoform인 apoE2의 동형접합자 |
진단 | 임상증상, 혈청검사, 유전자검사 |
치료 | 식이요법, 약물치료 |
의료비지원 | 미지원 |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혈중에 증가된 상염색체 열성 유전성질환이다.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에서는 말초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은 프레드릭슨 고지단백혈증 분류에서 III형에 해당한다.
프레드릭슨 고지단백혈증 분류
- 드문 질환으로 chylomicron과 중성지방이 증가되어 있다. LPL 유전자 또는 이것의 cofactor인 apolipoprotein(apo) C-II의 돌연변이가 원인이다. 동맥 경화증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아형이다.
- Type I
- 전형적인 복합성 고지혈증으로 저밀도 지단백과 극저밀도 지단백의 상승을 보인다.
- Type IIb
-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이라고도 불리며 type IIb와 감별이 필요하다. 중등도밀도 지단백과 극저밀도지단백의 상승을 보이며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높다.
- Type III
- 극저밀도 지단백(VLDL)과 중성지방의 상승이 특징이다.
- Type IV
- chylomicron과 극저밀도 지단백(VLDL)의 증가가 특징적이다.
- Type V
증상 (Symptoms)
-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의 증상은 대개 20세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피부에 지방이 축적되는 황색종이 눈꺼풀, 손바닥, 발바닥, 무릎이나 팔꿈치의 인대에 나타난다.
- 동맥경화증이 나타나며, 이로 인한 가슴통증(협심증), 일시적인 뇌경색 또는 말초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원인 (Causes)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큰 지단백을 형성하는데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성질환이다. 이것은 apolipoprotein E (apoE)의 결함과 관련되어 있다. ApoE의 주요 isoform은 apoE2, -E3, -E4의 3가지인데, E2 isoform은 간의 지단백 수용체에 잘 결합하지 못하고 혈장으로부터 제거가 늦다. 이러한 apoE2의 동형접합자를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의 90%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한편 apoE2 동형접합자를 가진 정상인에서는 5%이상이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은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게서 이상이 있는 유전자를 받아야 발현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로부터 질병 유전자를 받고 아버지로부터 정상 유전자를 받으면, 그 아이는 보인자이지만 질병에 이환되지 않으므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부모 둘 다 같은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가까운 친족 중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친척 중 질환이 없는 부모의 경우보다 그들의 자손에게서 질환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진단 (Diagnosis)
-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의 진단은 결절성 황색종의 임상증상과 아래의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 혈관촬영
- Apolipoprotein E (apoE) 유전자 검사
- Heart stress test
- 혈중 콜레스테롤 과 중성지방 측정
- 초저밀도지단백 (very low density lipoprotein;VLDL) 측정 가족성 이상베타지단백혈증은 프레드릭슨 고지단백혈증 분류에서 III형으로, 저밀도지단백(LDL), 중간밀도지단백(IDL),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되어 있고, HDL이 감소되어 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치료 (Treatment)
- 증상을 악화시킬수 있는 비만,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등의 기저질환을 치료하고, 저칼로리식이,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 제한 식이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식이요법으로는 혈중 콜레스테롤이 조절 되지 않는다면 아래와 약물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 피브린산 유도체
- 나이아신
- HMG-CoA 환원효소억제제 대부분의 환자에서 치료를 통해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출 수 있다.
감수 (Supervision)
-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 교수 update :2011.06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
- Lim H, Kim DS. Type III hyperlipoproteinemia associated with generalized tuberoeruptive xanthomas. Korean J Clin Pathol. 2001 Aug;21(4):269-273.
- Mahley RW, Huang Y, Rall SC Jr. Pathogenesis of type III hyperlipoproteinemia (dysbetalipoproteinemia). Questions, quandaries, and paradoxes. J Lipid Res. 1999 Nov;40(11):1933-49.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굿파스쳐증후군(Goodpasture Syndrome) (0) | 2013.04.05 |
---|---|
가족성 용종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0) | 2013.04.05 |
가족성 지중해열(Familial Mediterranean fever) (0) | 2013.04.04 |
고돈 증후군(Gordon syndrome) (0) | 2013.04.04 |
골츠 증후군(Goltzs syndrome) (0) | 201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