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뇌증후군(Diencephalic syndrome)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 | 러셀증후군 (Russell's syndrome) |
---|---|
영향부위 | 체외 : 골격 근육 눈 |
증상 | 쇠약함, 수척함, 사시 |
원인 | 뇌종양에 의한 성장호르몬 조절장애 |
진단 | 뇌 CT, MRI, 성장호르몬검사 |
치료 | 수술, 항암요법, 방사선요법 |
의료비지원 | 미지원 |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간뇌증후군 (Diencephalic syndrome)은 적절한 영양공급에도 불구하고 피하지방이 쌓이지 않아 발생하는 성장장애, 쇠약함(수척함, emaciation), 기억장애, 과도한 졸리움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평균 발병연령은 7개월~18개월이다.
증상 (Symptoms)
성장장애, 쇠약, 기억장애, 과도한 졸리움, 사시, 일부에서 실명(blindness) 등의 증상을 보인다. 반면, 지능발달은 정상적이며, 신장은 정상적으로 성장한다. 그 외에 일부환자에서는 환자가 지나치게 각성이 되는 증상, 운동과다(hyperkinesis), 비정상적인 행복감(euphoria), 안구 진탕, 구토 등이 나타난다.
원인 (Causes)
주로 시상하부 앞쪽(anterior hypothalamus)에 신경아교종(low-grade glioma)나 별아교세포종(astrocytoma)과 같은 뇌종양의 발생에 의한다. 적절한 영양공급에도 불구하고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의 조절장애 및 흡수의 감소와 에너지 소모 증가로 인해 피하지방이 쌓이지 않아 쇠약함이 발생한다.
진단 (Diagnosis)
뇌 CT, MRI 등의 영상의학적 검사와 뇌척수액검사를 실시한다. 당(glucose)에 대한 역설적인 성장호르몬의 증가를 진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신경성식욕부진(anorexia nervosa) 환자에서는 성장호르몬 수치가 증가되어있으며, IGF-1은 감소되어있으나, 간뇌증후군 환자에서는 IGF-1 수치가 정상이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치료 (Treatment)
- 뇌종양의 위치에 따라 수술적 치료,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한다
감수 (Supervision)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지훈 교수, 2011.10.07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
- Pediatrics 2005;115:e742?e748
- Neurology 2001;57;932
-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1972;35;196-201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성 특발성 기저핵 석회화(Familial idiopathic basal ganglia calcification) (0) | 2013.04.06 |
---|---|
거짓부갑상선기능저하증(Pseudohypoparathyroidism) (0) | 2013.04.06 |
가족성 지질단백 지질분해효소 결핍증 (0) | 2013.04.06 |
궤양성 결장염(Ulcerative colitis) (0) | 2013.04.05 |
굿맨 증후군(Goodman syndrome) (0) | 201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