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77.9 / 갈락토시알리도시스(Galactosialidosis)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 | - Deficiency of cathepsin A(Deficiency of cathepsin A) -Goldberg syndrome(Goldberg syndrome) - lysosomal protective protein deficiency(lysosomal protective protein deficiency) |
---|---|
영향부위 | 체내 : 신장 심장 / 체외 : 골격 눈 |
증상 | 장기나 조직의 탈장, 간 비대, 비장 비대, 비정상적인 뼈의 성장, 심장 비대증, 지적 장애 |
원인 | CTSA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단백질의 변화, 상염색체 열성유전 |
진단 | 소변검사, 혈액검사, 생검, 유전자 검사 |
치료 | 증상에 따른 완화 치료 |
의료비지원 | 미지원 |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갈락토시알리도시스는 몸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가 나타나는 3가지 증상이 진행되는 나이와 특징의 패턴으로 구별된다. 유아에게 나타나는 초기 갈락토시알리도시스는 출생 전에 태아의 몸에 양수의 축적되어 발생하는 태아 부종과 하복부에 장기나 조직이 탈출한 샅굴 탈장(서혜부 탈장)과 같은 심각한 부종과 팽창한 간 및 비장(간비종대)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 외의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골의 성장(다발성 이골증)과 눈에 띄는 얼굴에 나타나는 증상들이 있다. 유아들은 심장 비대증, 안과 검사로 밝혀낼 수 있는 앵두 반점이라고 불리는 눈의 이상, 신장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신장질환 등을 갖는 경우도 있다. 대개 이 병에 걸린 유아들은 태어난 후 3개월 내에 진단이 내려진다. 후기 유아에게서 나타나는 갈락토시알리도시스는 증상이 다소 심하지 않게 나타나고 늦게 나타나더라도 초기 유아의 증상과 비슷한 형태를 띤다. 증상으로는 작은 키, 다발성 이골증, 심장판막이상, 간비종대 등이 있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지적장애와 청력의 이상, 앵두 반점이 있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 환자 중 어린이들은 태어난 후 일 년 안에 병이 진행이 된다. 이들의 평균수명은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 질환이 성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위에서 말한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조화운동불능, 간대성근경련, 지적장애로 구분이 된다.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피부에 검고 빨간 점이 나고 척추에 이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시력과 청력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이 시작되는 시기는 각각 개인에 따라서 다양하게 시작된다. 하지만 평균적인 시기는 16세 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들의 평균 수명과 관련이 있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가 얼마나 발병하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100명이 조금 넘는 환자만이 보고 되었을 뿐이다. 대략 환자의 60%가 청소년이거나 성인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본인으로 보고가 되었다.
증상 (Symptoms)
유아의 갈락토시알리도시스의 증상은 출생 후 3개월 사이에 나타난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 질환의 돌연변이를 유전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유아는 태아수종, 부종, 또는 양수가 축적되는 현상을 겪게 된다. 어린 환자들은 다양한 부위에 부종이 생기며 간, 비장, 심장 등이 부풀게 된다. 골격의 변화, 특히 척추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식과 행동장애 또한 발생하게 된다. 신장 기능 역시 저하된다. 후기 유아 갈락토시알리도시스의 증상은 몇 달 안에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비장과 간의 비대증, 비정상적인 골격의 형성 등이 있다. 앵두 반점이나 의 체리 반점 또는 각막의 손상도 나타나게 된다. 만약 정신박약 증세가 보인다면 그 증상은 심하지 않게 나타날 것이다. 난청 증상도 나타나게 된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의 환자 중 성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전형적으로 16세부터 시작된다. 성인 환자들은 대부분이 일본인이었다. 척추의 이상, 운동 결핍, 발작, 그리고 지적기능 장애가 전형적인 증상으로 나타난다. 망막의 앵두반점, 각막의 손상, 시력의 약화등도 나타나게 된다.
원인 (Causes)
20번염색체 장완에 위치한(20q13.10) CTSA 유전자에 있는 돌연변이는 모든 유형의 갈락토시알리도시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CTSA 유전자는 카텝신 A라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 구획은 더 이상 물질을 소화하고 재생하는 효소가 필요 하지 않을 때 이것들을 저장한다. 카텝신 A는 2개의 효소, 뉴라미니다아제 1과 베타 갈락토시다아제와 함께, 단백질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이 복합물은 특정 단백질(당단백) 또는 지방질(당지질)에 붙어 있던 설탕 분자(감당류)를 분해한다. 카텝신 A는 또한 뉴라미니다아제 1을 가진 복합물 및 탄력소결합단백질을 형성하는 세포 표면에 있다. 탄력소결합단백질은 탄력섬유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CTSA 돌연변이는 카텝신 A의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뉴라미니다아제 1,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탄성적 결합단밸질의 복합물을 만드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카텝신 A의 단백질구조를 혼란시킨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는 특정한 리소좀효소나 단백질의 부족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리소좀 축적장애의 한 종류이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는 카텝신A의 기능을 손상시키고 다른 효소들은 특정 물질이 리소좀에 축적되는 것을 야기 시킬 것이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은 보통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다. 보통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란 부모에게서 받은 2개의 유전자 모두 돌연변이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환자의 부모 모두 보인자로서 돌연변이 유전자를 자식에게 전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지만, 보인자는 전형적으로 갈락토시알리도시스의 증상은 보이지 않는다
진단 (Diagnosis)
갈락토시알리도시스가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진단하기 위해서 올리고당의 증가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소변 검사 실시된다. 소변 검사는 효소 B 갈락토시다아제와 뉴라미니다아제의 감소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 조직을 이용한 생검 또는 혈액 검사와 함께 실시된다. 태아기 때의 검사 역시 베타 갈락토시다아제와 뉴라미니다아제의 측정이 가능하다. CTSA 유전자 분석 테스트는 확진 검사로 갈락토시알리도시스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찾기 위해서 다른 검사들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치료 (Treatment)
아직까지는 갈락토시알리도시스를 완치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제한적으로 발작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환자들은 지속적인 유전자 검사와 신경학적, 안구검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골수이식을 통한 치료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갈락토시알리도시스환자 중 유아형 환자들은 1년을 넘기지 못한다. 어린이형에 있어서는 1살에서 20살까지가 평균수명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성인형의 경우 거의 일반인과 같은 평균수명을 갖는다.
감수 (Supervision)
- 아주대학교 의학유전학과 고정민 교수 Update : 2010. 09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
- Groener J, Maaswinkel-Mooy P, Smit V, van der Hoeven M, Bakker J, et al. New mutations in two Dutch patients with early infantile galactosialidosis. Mol Genet Metab. 2003 Mar;78(3):222-8.
- Malvagia S, Morrone A, Caciotti A, Bardelli T, d'Azzo A, et al. New mutations in the PPBG gene lead to loss of PPCA protein which affects the level of the beta-galactosidase/neuraminidase complex and the EBP-receptor. Mol Genet Metab. 2004 May;82(1):48-55
- Matsumoto N, Gondo K, Kukita J, Higaki K, Paragison RC, et al. A case of galactosialidosis with a homozygous Q49R point mutation. Brain Dev. 2008 Oct;30(9):595-8. Epub 2008 Apr 18.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프롤린혈증(Hyperprolinaemia) (0) | 2013.04.10 |
---|---|
거대세포바이러스병(Cytomegalovirus Disease) (0) | 2013.04.10 |
글란즈만 병(Glanzmann’s disease) (0) | 2013.04.09 |
근육긴장 이상(Dystonia) (0) | 2013.04.09 |
고양이울음 증후군(Cri-du-chat syndrome) (0) | 201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