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백과

근육긴장 이상(Dystonia)

반응형

G24 / 근육긴장 이상(Dystonia)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염전근이긴장증 (Torsion Dystonia)
영향부위체외 : 근육
증상불수의적이고, 몸의 한쪽 또는 그 이상에서 지속적인 근육 수축이 특징으로, 빈번하게 꼬이고, 반복적인 운동 또는 비정상 적인 자세를 발생
원인유전성, 또는 비유전성 요소
진단임상적인 특징에 기초
치료약물치료
의료비지원미지원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근육긴장이상은 운동 질환에 속하는데, 이는 증상, 원인, 진행과 치료에 따라 다양하다.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불수의적인 근육 수축이 특징적이며, 몸을 비정상적으로, 때로는 고통스럽게, 운동과 자세에 영향을 준다. 근육긴장이상은 국소성(Focal), 분절성(Segmental), 또는 전신성(Generalized) 등으로 나뉘어 진다. 근육긴장이상의 원인은 매우 다르다. 비유전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유전적인 요소들도 근육긴장 이상에 일으킨다. 근육긴장 이상과 연관된 가장 큰 소견은 비틀림, 목, 몸통, 사지, 눈, 얼굴, 성대 또는 이 근육군(Muscle group)들이 공동으로 반복적인 운동을 가지는 것이다. 근육긴장이상의 이환율은 대략 1/10,000에서 1/200 까지 보고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가장 흔한 타입은 성인기에 발병하는 국소적 근육긴장이상이다.

증상 (Symptoms)
근육긴장이상은 불수의적이고, 몸의 한쪽 또는 그 이상에서 지속적인 근육 수축이 특징으로, 빈번하게 꼬이고, 반복적인 운동 또는 비정상 적인 자세를 발생시킨다. 근육긴장이상을 가진 환자들은 영향을 받은 신체 부위에서 팽팽하고(tightening), 경련(cramping), 비틀림(twisting) 같은 비정상적인 자세를 가진다. 장애 또는 기능의 손상이 영향받은 몸의 부위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근육긴장이상의 운동 범위는 무정위운동(Athetosis)에서부터 빠르고, 순간적인 근간대성 경련까지 다양하며, 때로 율동적이고 떨림을 동반한다. 근육긴장 이상운동은 동작에 의해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action dystonia"), 환자들에게서 특정한 동작과 연관된 증상이 초기에 발견될 수 있다. 이런 양상은 비특이적일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긴장 이상은 덜 특이적인 운동이 되어 안정적일 수 있으며, 지속적인 비정상적인 자세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목의 운동이상(Cervical dystonia : 연축성 사경)은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로, 머리의 비틀림 또는 경련, 머리 떨림, 경부 통증 등의 증상이 포함된다. 통증은 운동이상의 다른 형태에 비해 보통 더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근육긴장이상은 영향 받은 부위 또는 발병 나이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근육긴장이상의 종류영향 받는 부위
국소성(Focal)하나의 신체 부위가 영향을 받는다. 
눈꺼풀 (눈꺼풀 연축) 
입 (oromandibular dystonia, musicians cramp) 
후두 (dystonic adductor dysphonia, "whispering dysphonia") 
목 (목의 근육긴장 이상, 연축성 사경으로 알려졌다) 
손과 팔 (writers cramp)
분절성(Segmental)두개골과 안면 
축 : Axial (목과 몸통) 
팔 
다리
전신성(Generalized)다리와 다른 분절의 근육긴장이상이 같이 있는 경우
다소성(Multifocal)둘 또는 그 이상의 비 인접부위
반신성(Hemidystonia)같은 쪽 팔과 다리

      발병 나이에 따른 분류
  • 일찍 발병하는 근육긴장 이상은 더 전신적이고, 더 중증의 진행을 가진다. 유년기에 발병하는 근육긴장 이상은 전신적 경향이 있는 반면, 성인기에 발병하는 근육긴장 이상은 국소적인 경우가 많다

원인 (Causes)

      비 유전적 근육긴장 이상
  • 증후성 또는 2차성의 근육긴장이상은 외부의 상해로부터 유발된다. 비 유전성 근육긴장의 원인이는 뇌졸중(Strokes) 또는 다른 허혈성 결과, 탈수초화(Demyelination), 감염, 종양과 독소에 의한증후성 또는 2차성의 근육긴장이상은 외부의 상해로부터 유발된다. 비 유전성 근육긴장의 원인이는 뇌졸중(Strokes) 또는 다른 허혈성 결과, 탈수초화(Demyelination), 감염, 종양과 독소에 의한 경우가 포함된다. 2차성 근육이상의 가장 흔한 타입은 약물성으로 유발된다(지발성 근육긴장이상). 지발성 근육긴장이상과 연관되어진 약물은 항정신병약제(Antipsychotic medications), 엘-도파(L-dopa)와 일부 항구토제(Antiemetics)를 포함한다. 약에 의해 유도되는 근육운동긴장의 유전적인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유전적 근육긴장 이상
  • 유전성 근육긴장이상은 1차성 근육긴장이상(Primary dystonia), 근육긴장이상-플러스(Dystonia-plus), 유전성-퇴행 근육긴장이상(Heredo-degenerative dystonia), 근육긴장이상을 가진 발작 운동이상증(Paroxysmal dyskinesias with dystonia)으로 분류되어진다.
  • 1차 근육긴장이상(Primary dystonia)
  • 1차 근육긴장이상은 다른 신경학적인 이상이 없는 경우로 초기에는 “원인불명(idiopathic)”으로 기술되어 왔으며, 신경생리학적, 신경화학적 또는 병리학적인 병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다수는 현재 유전학에 이유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족성 1차성 근육긴장이상은 전신성 또는 국소성으로 세분화된다. 때때로 같은 가족 내의 가족원이 혼합형으로 알려진 다른 세부형을 가지지만, 세부형 사이에 절대적인 구별이 있지는 않다. 1차성 근육긴장이상의 대다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양식이다. 상염색체 열성 형질, 근육긴장이상 2차성의 존재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X 염색체 연관 근육긴장이상-파킨슨증은 예전에는 1차성 근육긴장이상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성-퇴행 근육긴장이상으로 분류되는 것이 더 적절하다.
  • 유전성-퇴행 근육긴장이상(Heredo-degenerative dystonia)
  • 유전성-퇴행 근육긴장 이상은 근육긴장이상이 현저하거나 특징이 나타나나, 다른 신경학적인 특징들이 나타날 수도 있는 것으로 정의되어진다. 다른 신경학적인 특징은 치매, 말더듬증, 위축과 무도무정위운동(Choreoathetosis)과 파킨슨병과 같은 다른 운동 질환을 포함한다. 다른 유전성-퇴행 증후군은 근육긴장이상에서 전형적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근육긴장이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들은 감별되어야 한다.
  • 근육긴장이상을 가진 발작 운동이상증(Paroxysmal dyskinesias with dystonia)
  • 근육긴장 이상을 가진 발작 운동이상증은 다른 근육긴장 이상과 임상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증상과 징후가 간헐적이다.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증상발현기 이외에는 잘 지낸다. 환자들은 간질 또는 무도병과 같은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대다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을 보인다.

진단 (Diagnosis)
근육긴장 이상의 진단은 근본적으로 임상 양상에 기초한다. 만일 진단이 의심스럽다면, 경험이 많은 운동 질환 전문의에게 다시 의뢰하여 정확한 진단을 권장한다. “증후성(Symptomatic) 또는 “2차성(Secondary) 근육긴장이상은 외부의 상해로부터 유발된다.

유전진단 이외의 임상 검사가 가능한 질환

      도파-반응 근육긴장이상(Dopa-responsive dystonia)
      가족성 특발 기저핵 석회화(Fahr disease)
      판토텐산 키나제-연관 신경 퇴행 (Pantothenate kinase-associated neurodegeneration)
      유극적혈구증가무도병(Choreoacanthocytosis)
      McLeod neuroacanthocytosis 증후군

분자 유전학적 검사가 가능한 질환

      초기 발병형 1차성 근육 긴장 이상
      도파-반응 근육긴장이상
      간근대성-근육긴장이상(Myoclonus-dystonia)
      급성 발병 파킨슨병(Rapid-onset dystonia-parkinsonis)
      PKAN
      Parkin-형 연소성 파킨슨병(Parkin-type juvenile Parkinson disease)
      난청-근육긴장이상-시각신경병증 증후군 (Deafness-dystonia-optic neuronopathy syndrome)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치료 (Treatment) 
근육긴장이상을 가진 모든 환자들은 신경학적, 신경외과적 전문가에 의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며, 만일 특정 치료 가능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다면, 치료는 대증요법이다.

      약물 치료
  • 항콜린성 약물(Anticholinergic drugs) 또는 드물게 레세르핀(Reserpine)과 같은 도파민 제거 약제(Dopamine depletors)는 특발성 근육긴장 이상을 가진 개인들의 일부에게서 효과적이다. 도파-반응 근육긴장이상 환자들은 간혹 항콜린성 약물에 반응한다.
    증후성 경구 약물로는 근육 이완성의 바클로펜(Baclofen), 신경안정제인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 진통제(Standard analgesics) 등이 포함된다. 모든 약물은 부작용과 내성 또는 중독을 피하기 위해 엄격한 관리 하에 투여되어야 한다.
      보툴리눔 독소 근육 주사
  • 보툴리눔 독소는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어지는 신경독으로, 치명적인 사람의 신경독이며, 신경근육 접합부위에서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막아 신경근육 전달을 차단시킨다. 상업적으로 조제된 보튤리눔 독소 주사는 주입된 근육의 국부적인 이완마비를 유발하며, 몇 주에서 몇 달간 지속된다. 이것은 근육긴장 이상의 다른 치료와 대비하여 성공률이 높고, 합병증 빈도가 낮아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되었다. 최근에는 보툴리눔 독소 이외에 페놀 용액을 사용하여 주사 치료를 시도하기도 한다.
      신경외과적 수술로는 말초 또는 정위적 신경 제거법이나 근종절제술이 있다.
  • 뇌심부전기자극술(Deep-brain stimulation :DBS)는 원래 1950년대에 파킨슨병을 위한 신경외과 절제 수술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기술적인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성공률이 보고되었다. 과거 몇 년 동안 DBS는 근육긴장 이상의 치료로 다시 소개되지만, 아직은 실험적인 치료법이다.

감수 (Supervision)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소아과 이영목 교수 update: 2008. 07.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유전학과 고정민 교수 update: 2010.07.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