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백과

갈락토스혈증(Galactosemia)

반응형

E74.2 / 갈락토스혈증(Galactosemia)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
영향부위체내 : 간 / 체외 : 눈 피부
증상간비대, 고암모니아혈증, 기면, 백내장, 복수(ascites)가 차며, 부종(edema)이 생김, 설사, 성장지연, 신생아시 수
원인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 9번 염색체의 짧은 팔에 위치(9p13)하고 있는 GALT 유전자에 이상
진단혈액검사, 소변검사, GALT 등전점 전지영동분획검사
치료유전상담, 식이 조절, 항생제 약물 치료
의료비지원지원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갈락토스혈증(Galactosemia)은 갈락토스(모유와 일반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당분)를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능력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드문 유전성 탄수화물 대사 질환이다. 갈락토스는 세 가지 효소 반응의 단계에 의해 포도당으로 변환되는데, 이 질환은 이러한 과정 중의 필수 효소인 갈락토스-1-인산염 우리딜 전이효소(Galactose-1-phosphate uridyl transferase)가 부족해서 체내에 갈락토스(Galactose)가 축적되어 발생한다. 갈락토스혈증(Galactosemia)은 전형적 갈락토스혈증(Classic galactosemia)이라고도 불리며, 전형적 갈락토스혈증은 증상이 심한 편이나, 또 다른 유전자 변이로 나타난 두아르테 갈락토스혈증(Duarte galactosemia)은 증상이 가벼운 편이다. 우유는 유아들의 필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는 기본 식품이므로 갈락토스혈증으로 인한 심각한 장애를 막기 위해 이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갈락토스혈증은 35,000∼60,000명당 한 명의 비율로 나타나며 남녀 모두에게 동일한 비율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질환은 모든 인종에서 나타난다.

증상 (Symptoms) 
갈락토스혈증의 유아는 태어날 때는 정상으로 보이지만 며칠 또는 몇 주 이내에 식욕을 잃어버리게 되고 (식욕부진), 심한 구토를 하기 시작하고, 이 외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 점막, 눈이 노랗게 되는 황달(Jaundice)
      간비대(Hepatomegaly)
      아미노산과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된다.
      복수(ascites)가 차며, 부종(edema)이 생긴다.
      성장이 지연되어 키와 몸무게가 정상아동에 비해 작다.
      설사
      기면(lethargy)
  • 의식이 혼미한 상태로 강한 자극에서만 반응을 보이며 수면에 빠져있는 듯이 보인다.
      반복적으로 박테리아에 감염된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직이 손상되고, 심한 허약감을 느끼며 체중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갈락토스혈증을 가진 어린이의 경우 조기에 치료받지 못하면 신체발달과 정신발달이 지체될 수 있고 특히 유아기 또는 아동기 때 백내장에 걸릴 확률이 높다.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미한 경우부터 전신 감염을 동반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의 심각한 형태까지 이 질환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간 또는 신부전증, 뇌 손상, 백내장 등의 갈락토스혈증의 예후를 피하기 위해, 유아기에는 신속하게 음식으로부터 갈락토오스를 모조리 제거해야 한다. 이런 특별한 음식으로 치료를 받은 아이는 더할 나위 없는 보통 건강과 성장을 보인다.
      대체로 정상적인 지적 발달을 보이는 편이나 말하기와 시력 장애, 그리고 약간의 행동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생식샘자극호르몬(Gonadotropin)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여성의 경우 난소에 이상이 자주 나타나며, 남성의 경우 고생식샘자극호르몬증(Hypergonadotropinism)이 나타난다.
      두아르테 갈락토스혈증(Duarte galactosemia)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전형적 갈락토오스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으며, 식이치료(갈락토스를 제외한 식이)를 유지해야 하는지의 여부도 아직 논의 중에 있다.

원인 (Causes) 
갈락토스혈증은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되며, 9번 염색체의 단완에 위치(9p13)하고 있는 GALT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고 한다.

      가장 심각한 형태인 고전적 갈락토스혈증(Classic galactosemia)은 갈락토스-1-인산염 유리딜 전이효소(Galactose-1-phosphate uridyl transferase)의 부족으로 생긴다.
      경미한 형태인 두아르테 갈락토스혈증(Duarte galactosemia)은 갈락토키나아제(Galactokinase)의 부족으로 인해 생긴다. 이러한 효소들은 갈락토스를 분해하는데 필요한 효소이므로 부족하게 되면 갈락토스가 체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조직이 손상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갈락토스혈증 환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독성 산물들이 발견되었다.
      갈락티톨(Galactitol)
  • 갈락토스의 알코올성 유도체(Alcoholic derivative)
  • 눈의 렌즈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렌즈에 부종이 생기고, 단백질이 침착되어 결국 백내장이 생긴다.
    1. 갈락토스-1-인산염(Galactose-1-phosphate): 갈락토스 염(Salt of galactose)

진단 (Diagnosis) 
임신한 여성의 경우 적혈구 내 갈락토스-1-인산염 우리딜 전이효소(Galactose-1-phosphate uridyl transferase)의 활성 정도를 검사함으로써 보인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효소의 활성 정도가 정상의 50%이하일 때 보인자로 진단할 수 있다. 소변 물질 검사(Urine-reducing substances test)는 소변에 있는 다양한 물질들이 황산구리(Cupric sulfate, Copper sulfate)라고 불리는 금속성 시약과의 화학반응을 검사하는 것으로 갈락토스와 포도당을 검사할 수 있으며 갈락토스혈증이 있을 경우 항상 양성(비정상)으로 결과가 나타난다. GALT 동전점 전기영동분획검사(GALT isoelectric-focusing electrophoresis test)를 통해 두아르테 갈락토스혈증(Duarte galactosemia)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갈락토스혈증을 구별할 수 있다. 갈락토스혈증 신생아의 경우 혈액검사 상 빌리루빈이 증가되어 있고, 소변검사 상 알부민뇨증(Albuminuria)이 나타나며 이 후 아미노산뇨증(Aminoaciduria)이 나타난다. 갈락토스혈증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 신생아는 반드시 태어나자마자 또는 될 수 있는 한 빨리 진단검사를 해야 하며, 제대혈에서 채취한 혈액을 이용해 적혈구에 있는 효소의 활성을 검사할 수 있다. 2006년부터는 6종(페닐케톤뇨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갈락토스혈증, 호모시스틴뇨증, 단풍당뇨증,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의 선천성 대사 질환 검사 비용을 국가에서 전액 지원하여 보건소 및 병원에서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2005-2007년까지 2년간 시행한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총 1,259,220명의 신생아 중 21명의 환자가 발견되었다.
유전자 이름염색체 위치단백질 이름
GALT9p13Galactose-1-phosphate uridylyltransferase

      고전적 갈락토스혈증 : 지정된 돌연변이 분석, 염기서열 분석
      두아르테 갈락토스혈증 : 지정된 돌연변이 분석, 염기서열 분석

산정특례 진단기준: 
Disorders of galactose metabolism

      적혈구에 있는 효소의 활성도 검사 : 갈락토오스-1-인산 유리딜 전이효소(Galactose-1-phosphate uridyl transferase), 갈락토키나아제 (Galactokinase) 또는 UDP-galactose 4-epimerase 결핍때 진단.
      *진단방법: 특수 생화학/면역학 검사 도말/배양검사

치료 (Treatment) 
갈락토스혈증을 앓고 있는 어린이들은 갈락토스가 없는 우유 대체식품을 섭취해야 하며, 카세인 가수 분해물(Casein hydrolysate)과 같은 음식이나 콩 제품을 섭취해야 한다. 아이가 적어도 두 살에서 여섯 살이 될 때까지 엄격하게 식이를 제한하여 관리해야 하며 평생 식이 제한을 계속해야 한다. 한편 갈락토스혈증 환자들은 극소량의 갈락토스라도 오랜 기간 동안 섭취하면 백내장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1년에 2회 정도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갈락토스혈증을 가진 유아의 경우 갈락토스가 있는 식품 없이도 갈락토리피드(Galactolipids)와 다른 필수적인 갈락토스 함유 복합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의 식단만 엄격하게 조절한다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감염을 조절하기 위해 항생제 약물 치료와 같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엄격한 식이 제한이 심리적인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아동기 동안 심리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유전상담이 도움이 된다.

감수 (Supervision)

      고려대학교구로병원 내분비내과 백세현 교수 Update : 2007.04
      아주대병원 유전질환 전문센터 김 현 주 교수 Update : 2008.12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정윤석 교수 Update: 2010. 10.

전문병원 (Hospital)
고대구로병원내분비내과02-818-6551서울특별시
구로구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유전대사클리닉055-360-3651경상남도
양산시순천향대학교병원소아청소년과02-709-9338서울특별시
용산구전남대학교병원소아과062-220-5114광주광역시 동구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