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백과

가성 저 알도스테론증(Pseudohypoaldosteronism)

반응형

가성 저 알도스테론증(Pseudohypoaldosteronism)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저알도스테론증 (hypoaldosteronism)
영향부위체내 : 신장 혈관(혈액) 
증상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염분소실 및 탈수, 구토, 대사성 산증, 발육부전, 식욕부진 
원인신장에서의 알도스테론 작용에 대한 저항성
진단말초혈액검사, 혈장검사(BUN, Cr, 나트륨, 칼륨), 소변검사(과도한 나트륨 소실), 혈액 가스검사, aldosterone 측정, plasma renin activity 측정, 17α-hydroxyprogesterone 측정 
치료경구염분투여, 칼륨 결합 레진
의료비지원미지원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신생아기에 증상이 발현되는 드문 유전성 질환으로, 신장에서의 알도스테론 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크게 일차성(선천성)과 이차성(후천성)으로 나누며, 일차성은 다시 1형과 2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으로 분류됩니다. 혈액검사에서는 공통적으로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 정상 또는 높은 알도스테론 농도를 보입니다.

      1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각기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세 가지 형태의 유전양식을 나타냅니다. 상염색체우성 유전형의 경우 신장을 통한 염분 소실,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과 함께 구토 및 성장부진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상염색체열성유전형은 신장 뿐 아니라 대장, 침샘, 땀샘 및 호흡기상피 등의 다양한 표적 기관에서 알도스테론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납니다. 산발형은 상염색체우성유전형의 경한 형태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2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Gordon 증후군으로도 불리며 상염체 우성으로 유전하며 고칼륨혈증은 있지만 염분소실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차성(후천성)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amiloride, triamterene, trimothoprim, spironolactone, cyclosporin과 같은 약물, 또는 신장이식 후, 폐쇄성 신장질환, 전신성 홍반성 낭창, 미숙아, 신장염 후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 (Symptoms) 
가성 저알도스테론증 1형은 개인에 따라 증상 발현이 매우 다양합니다. 생후 첫 2주에 매우 심한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출생이전 태아기 때 염분소실과 탈수를 일으키며 양수과다를 보일 수 있고, 저칼륨혈증과 관련하여 구토,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 때문에 좀 더 나이가 많은 소아에서는 염분을 갈구하는 증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가성 저알도스테론증 2형에서는 저신장의 특징적인 외형을 보이기도 하며, 요로결석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 (Causes)

      1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알도스테론 표적 기관에서의 알도스테론 작용에 대한 저항성에 의한 것으로, 정상적인 신장과 부신 기능에도 불구하고 혈장 레닌활성도 및 혈중 알도스테론 수치의 상승이 동반됩니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신단위 원위부에 존재하는 염류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이형 유전자 변이(heterozygous mutation)가 관찰 됩니다.
      2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1986년 Gordon 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가족성 고혈압과 함께 고칼륨혈증이 나타나지만 혈장레닌활성도 및 혈중 알도스테론 수치는 정상 범위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신장의 thiazide에 민감한 부위의 기능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데, amiloride-sensitive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유전자의 동형 유전자 변이(homozygous mutation) 와 연관을 갖습니다. 신단위 원위부로의 나트륨 운반이 증가됨으로써 칼륨 배설이 감소하게 되고, 나트륨 축적으로 인해 혈량이 증가되어 고혈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2차성(후천성)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약물 또는 폐쇄성 요로질환, 요로감염, 신장 이식, 장절제 등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합니다.

진단 (Diagnosis)

      말초혈액검사
      혈장검사 (BUN, Cr, 나트륨, 칼륨)
      소변검사(과도한 나트륨 소실)
      혈액 가스검사
      aldosterone 측정
      plasma renin activity 측정
      17α-hydroxyprogesterone (17-OHP) 측정

감별진단
1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Bartter 증후군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Bartter 증후군의 경우 신생아 초기에 고칼륨혈 증과 대사성산증이 나타날 수 있으나, 수일 내에 Bartter 증후군의 특징적인 저칼륨혈증 및 대사성알칼리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염분 소실형 선천성부신과형성증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17-OHP 수치의 상승 및 정상 범위의 혈중 알도스테론 수치가 감별에 도움이 됩니다.

치료 (Treatment) 
1형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의 치료에 있어서 염류코르티코이드 공급은 효과가 없으며, 경구 염분 공급만으로도 염분 소실양을 보충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서 혈중 나트륨 및 칼륨 수치가 정상 범위를 회복하고 임상증상이 소실된 이후에도 혈장레닌활성도와 혈중 알도스테론 수치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역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경구 염분 투여를 통해 증상 조절이 이루어지며 나이가 들면서 점진적으로 증상이 호전되어 결국 경구 치료의 중단을 이룰 수 있게 됩니다. 상염색체열성유전형은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우성유전형 및 산발형과 달리 장기간 동안 과량의 염분 공급과 함께 potassium binding resin의 투여가 필요합니다. 상염색체열성유전형의 경우 자발적인 증상 호전 없이 장기간의 고용량 경구 염분 치료를 필요로 하며 치료 기간 중에도 반복적인 증상 발현이 관찰됩니다. 2차성(후천성) 가성 저알도스테론증은 근본 질환에 대한 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감수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장혜원 교수 update 2011.06

참고 문헌 및 사이트

      Bonny O, Rossier BC. Disturbances of Na/K balance: Pseudohypoaldosteronism revisited. J Am Soc Nephrol 2002;13:2399-414.
      Cheek DB, Perry JW. A salt wasting syndrome in infancy. Arch Dis Child 1958;33:252-6.
      Kwon YS, Shin HG, Ahn MS, Kim HB. A case of pseudohypoaldosteronism. J Korean Pediatr Soc 1992;35:984-8.
      Viemann M, Peter M, Lpez-Siguero JP, Simic-Schleicher G, Sippell WG. Evidence for genetic heterogeneity of pseudohypoaldosteronism type 1: Identification of a novel mutation in the human mineralocorticoid receptor in one sporadic case and no mutations in two autosomal dominant kindreds.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2056-9.
      Bonny O, Rossier BC. Disturbances of Na/K balance: Pseudohypoaldosteronism revisited. J Am Soc Nephrol 2002;13:2399-414.
      Cheek DB, Perry JW. A salt wasting syndrome in infancy. Arch Dis Child 1958;33:252-6.
      Kwon YS, Shin HG, Ahn MS, Kim HB. A case of pseudohypoaldosteronism. J Korean Pediatr Soc 1992;35:984-8.
      Viemann M, Peter M, Lpez-Siguero JP, Simic-Schleicher G, Sippell WG. Evidence for genetic heterogeneity of pseudohypoaldosteronism type 1: Identification of a novel mutation in the human mineralocorticoid receptor in one sporadic case and no mutations in two autosomal dominant kindreds.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2056-9.
      Sartorato P, Lapeyraque AL, Armanini D, Kuhnle U,Khaldi Y, Salomon R, etal. Different inactivating mutations of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in fourteen families affected by typeⅠ pseudohypoaldosteronism.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2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