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74.2 /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Galactokinase deficiency)
질병주요정보
동의어 및 관련질환명 | - Galactose kinase deficiency (Galactose kinase deficiency) - Galactosemia type 2 or GALK deficiency (Galactosemia type 2 or GALK deficiency) - Galactose-1 phosphate uridyl transferase deficiency ( Galactose-1 phosphate uridyl transferase deficiency) - Galactose-6-phosphate epimerase deficiency (Galactose-6-phosphate epimerase deficiency) |
---|---|
영향부위 | 체내 : 뇌 / 체외 : 눈 |
증상 | 백내장 |
원인 | GALK1 gene mutation (chromosome 17q24), 상염색체 열성유전 |
진단 | 적혈구에서 갈락토카이네이스 활성도 측정 |
치료 | 식이제한, 수술적 치료 |
의료비지원 | 미지원 |
질병세부정보
개요 (General Discussion)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은 갈락토세미아 type 2 또는 GALK deficiency로도 알려져있으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대사증후군의 일종이다. 갈락토카이네이스는 갈락토스의 인산화과정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이것이 결핍될 경우 갈락토스에서 갈락토스-1-인산염으로의 전환이 되지 않아서 갈락토스와 갈락시톨이 축적된다. 이 질환의 유전적 원인은 GALK1 유전자의 돌연변이이다. 갈락토스카이네이스 결핍은 갈락토세미아를 일으키는 선천적인 원인의 1/3을 차지한다. 갈락토스-1 포스페이트 유리딜트랜스퍼레이즈의 결핍으로 생기는 전형적인 갈락토세미아와 달리, 이 질환에서는 초기증상이 유아초기에는 심하지 않다. 이 질환의 가장 주된 임상증상은 생후 한달 이내에 발생하는 백내장이며, 이는 수정체에 갈락시톨의 축적되어 나타나게 된다. 동형접합성 환아인 경우 백내장을 초기에 발견하여 갈락토스 제한식이를 할 경우 예방가능하다. 이형접합성 보인자인 환아에서 는 출생이후 우유섭취정도에 따라 20-50세에 백내장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는 연구도 있다.
증상 (Symptoms)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의 주된 증상은 백내장이며, 이는 전형적인 칼락토세미아와도 일치한다. 백내장은 주로 양쪽으로 나타나며 갈락토스 제한식이를 할 경우 치료될 수 있다. 갈락토스-1-포스페이트 유리딜트랜스퍼레이스 결핍과 달리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은 증상이 심하지 않다. 유일하게 알려진 증상은 백내장으로 이는 수정체내에서 생성되는 갈락시톨이 원인이다. 백내장은 발달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나타나야하는 사회적 미소가 나타나지 않거나, 물체가 움직일 때 초점이 따라가지 못 하는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 가성뇌종양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뇌척수액내에 갈락시톨의 농도가 증가되면서 뇌척수액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전형적인 갈락토세미아의 임상증상들이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원인 (Causes)
우유나 유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유당은 유당분해효소에 의해 갈락토스로 분해되고, 갈락토스는 다시 갈락토카이네이스에 의해 갈락토스-1-포스페이트로 분해된다. 갈락토카이네이스는 갈락토스의 인산화과정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GALK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갈락토카이네이스가 결핍될 경우 갈락토스에서 갈락토스-1-인산염으로의 전환이 되지 않아서 갈락토스와 갈락시톨이 축적된다. 유전양상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므로 어머니와 아버지는 보인자가 되며, 환아의 동생을 낳을 경우 1/4의 확률로 질환에 이환될 위험성을 가지며, 나머지 중 1/2은 부모와 같은 보인자가 된다.
진단 (Diagnosis)
소아에서 수정체백내장이 의심될 경우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증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또한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은 혈중 갈락토스가 증가하여 신생아선별검사에서 양성소견을 보이는 소아에서도 의심할 수 있다.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은 적혈구의 갈락토카이네이스 활성도를 평가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다. 단, 갈락토카이네이스 활성도 검사는 적혈구를 수혈받은 환아에서는 위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신생아선별검사에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이 포함되어 있다.
- 세균감염에 대한 혈액배양(대장균): 정상보다 혈중 갈락토네이스가 증가된 경우 세균의 성장이 증가된다.
- 적혈구의 갈락토카이네이스 활성도 측정
- 소변에서 케톤측정
- 산전진단에서 갈락토스-1-포스페이트 유리딜 트랜스퍼레이즈를 측정
- 모유수유나 유당을 함유한 제품을 먹이는 소아에서 혈당은 정상 또는 정상이하면서 소변에서 포 도당, 유당, 과당 등이 감소되어 있을 때.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치료 (Treatment)
갈락토카이네이스 결핍환자의 경우 음식조절이 치료의 핵심이다. 락토스나 갈락토스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으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유나 유제품, 그리고 갈락토스를 함유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섭취를 평생 제한해야 한다. 따라서 식품을 구매하기 전 영양성분표를 확인하여 갈락토스가 들어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아에서는 우유대신 두유를 먹이고, 고기로 만든 제품이나 뉴트라미젠(단백질 가수분해 제품), 락토스가 함유되지 않은 제품을 먹이며, 칼슘보충제를 함께 먹이는 것이 추천된다. 치료는 외래에서 가능하나,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백내장의 경우 입원하여 수술적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생화학 유전학자나 영양사, 안과전문의의 협의진료가 필요하다.
감수 (Supervision)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진동규 교수 update:2011.09
참고 문헌 및 사이트 (Treetment & Site)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루타르산뇨(Glutaric aciduria) (0) | 2013.04.11 |
---|---|
고쉐병(Gaucher Disease) (0) | 2013.04.11 |
그리그 증후군(Grieg syndrome) (0) | 2013.04.10 |
고프롤린혈증(Hyperprolinaemia) (0) | 2013.04.10 |
거대세포바이러스병(Cytomegalovirus Disease) (0) | 2013.04.10 |